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우분투 서버에 수동으로 DNS 설정하기 /etc/network/interfaces에 아래와 같이 dns 목록을 추가해도 되지만, dns-nameservers 168.126.63.1 8.8.8.8 위 방법으로 dns 설정이 적용 되지 않는 경우 아래와 같이 /etc/resolvconf/resolv.conf.d/base에 추가해 주면 된다.nameserver 168.126.63.1 만약 위와 같이 해도 안된다면 route 명령으로 gateway가 정상적으로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 후, 안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추가해 줘야 한다. (gateway가 192.168.0.1일 경우)sudo route add default gw 192.168.0.1 eth0 더보기
SSH 연결 유지 /etc/ssh/sshd_config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ClientAliveInterval 0 더보기
Android에 busybox 설치하기 1. 먼저 아래 첨부된 busybox v1.20.2 static 바이너리를 안드로이드 기기에 저장한다.2. 실행권한을 주고 다음과 같이 실행하여 busybox를 설치한다.# ./busybox --install /data/busybox# export PATH=/data/busybox:$PATH 더보기
우분투 리눅스 WIFI 설정 추가 1. iwlist scan 명령으로 wlan0 등의 무선랜 인터페이스명을 확인한다.2. wpa_passphrase 명령으로 접속할 ssid의 암호화된 키 값을 확인한다.$ wpa_passphrase testssid testpw1234 network={ssid="testssid"#psk="testpw1234"psk=c25e9856c9680ae89c4326109344948c2c8bdc205371ca888dd016410ac62161}3. /etc/network/interfaces에 아래와 같이 추가한다.auto wlan0iface wlan0 inet dhcpwpa-ssid testssid wpa-psk c25e9856c9680ae89c4326109344948c2c8bdc205371ca888dd016410ac6.. 더보기
Android 잠금 화면 제거 & 항상 화면 켜기 안드로이드 빌드 디렉토리에서 아래 파일을 찾는다.overlay/frameworks/base/packages/SettingsProvider/res/values/defaults.xml 아래 속성들을 추가한다.truetrue 더보기
Android Serial Console에 쉘 띄우기 디폴트 속성 값에 의해 안드로이드 시리얼 콘솔에 연결해도 쉘이 뜨지 않는 경우가 있다.이 때에는 부트로더(u-boot)의 bootargs를 확인해서 아래와 같은 내용이 없다면 추가해 준다.androidboot.selinux=disabled 더보기
Finding a process that is using specific network port If you want to find a process that is using specific network port - for example, udp 123 -, you can use 'fuser' command as following: # fuser -n udp 123 end. 더보기
redmine 관리자 암호를 잃어버렸을 때 redmine 관리자 암호 설정 방법.bitnami로 설치했으며, redmine버전은 2.5.1이다. 1. redmine 설치 폴더로 이동.2. 환경변수를 설정한다.source scripts/setenv.sh 3. apps/redmine/htdocs로 이동.4. 관리자 id를 확인한다.script/rails runner -e production 'puts User.find(:first, :conditions => {:admin => true}).name' 5. 관리자 암호를 설정한다.script/rails runner -e production 'user = User.find(:first, :conditions => {:admin => true}) ; user.password, user.password_c.. 더보기
루트 파일 시스템 빌드시 fakeroot 에러 buildroot를 사용하여 루트 파일 시스템을 만들면 fakeroot를 사용하게 된다.fedora 18 까지는 아무 문제 없이 잘 되던 빌드 시스템이 fedora 20으로 넘어오면서 문제가 발생했다.fakeroot에서 라이브러리를 로딩하다 에러가 난 것인데 구글링을 해 봤으나 해결책은 못 찾음.결국 fakeroot를 사용하지 않아도 어차피 루트 권한으로 빌드하는 것이기 때문에 fakeroot를 사용하지 않도록 Makefile을 수정.rootfs.cpio: rm -rf $(ROOT_PATH)/dev/* chown -R 0:0 $(ROOT_PATH) cat device_table.txt device_table_dev.txt > $(DEVICE_TABLE) makedevs -d $(DEVICE_TABLE) .. 더보기
/lib/ld-linux.so.2: bad ELF interpreter: No such 블라블라 32비트로 빌드된 어플리케이션을 64비트 리눅스에서 실행시 튀어나오는 에러 문구.해결 방법은, yum install glibc.i686 끝. 더보기